교육청 강의 원고

정광설 2012.03.05 16:44 조회 수 : 863

                                              ㅡ    마음튼튼!   웰컴행복!   ㅡ

                                                                                                             2012.3.6.
   1.   마음튼튼이란?

         정의 :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직면하고,
                   문제에 능동적으로 부딪치고,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고(manage), 다스리고,
                   문제를 극복하고, 우회하기도 하며,

                   결국은 그 문제에 영향받고, 붙잡히고, 그 문제에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초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상태.


          태도 : 문제를 보고 그문제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해결을 보는 자세.

                   어둠을 보고 있는 한 어두움을 벗어날 수 없고,
                   밝음을 향하여 눈(마음, 자세, 삶을 대하는 태도)을 돌리면 즉시 밝음을 경험하게 된다.

          방법(요령) : 무엇을 보는가?  있는 것 vs 없는 것


          결론 : 사람은 상황 조건 환경에 의하여 비록 영향은 받지 않을 수 없으나,
                   (자연 가운데에서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한)

                   그것에 의해 결과(운명)가 정해질 수밖에 없는 짐승과 달리,
                   결과가 자신의 정신건강(마음튼튼) 상태에 따라 천양지차이가 될 수 있고,
                   행복한 삶을 초청하고 일구어내는 삶일 수 있다.

         적용  :  오늘을 어떤 자세, 각오로 임하느냐가 중요하다.
                    오늘 어떤 분별력을 가지고,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달려있다.

                    오늘의 내모습은 과거의 분별과 선택의 결과이며,
                    미래의 내모습은 오늘 나의 분별과 성택의 결과임을 명심하여야 한다.

                    청교도들의 아침기도!  "오늘을 나의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날이 되게 하옵소서!"

                    과거를 원망하고, 오늘을 불평하고, 내일을 염려하느라 오늘을 허비하고 낭비하는 삶일 것인가?
                              (에라이! 허무하게 흘러가버릴 인생! 오늘 아니 노지않을 수 있겠나? 내일이면 늦으리!"하며,
                              육체의 소욕을 따라 말초적 만족을 찾으며, 소멸되어 가고, 노쇄하여 가고, 죽음을 향하여
                              흘러 들어가는, 아쉬움만 생산해 내는 '생존에 머무는 사람'이라는,
                              포유동물로서의 살아있는 저주받은 인생일 것인가?)

                     과거를 감사하고, 오늘을 기뻐하며, 내일을 기대하면서,
                              아름다운 미래를 설계하고 실천하며 살아있는 삶일 것인가?
                              (천하보다 귀한, 나라는 존재의 존귀하고 가치있음을 깨달아,
                              가치있는 삶을 일구어 내기 위해, 오늘도 보다 성숙한 인격과 영혼을 일구기 위해,
                              밝음을 향하는 행복한 마음으로 '살고있는 기쁨'을 맛보는 축복받은 삶일 것인가?)


    ㅡ  이렇게 마음이 튼튼한 사람이 되어, 한번 주어진 삶을 아름답고 행복한 인생으로 가꾸고 일구어 내는 것은,
         그 사람이 어떤 성품의 소유자이냐에 달려있다.

         이 성품은 각자가 유전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기질에,
         바른 방향의 교육과, 사랑으로 행하는 양육에 의해,
         마치 막대기에 설탕 가루가 덧입혀져 여러가지 모양의 솜사탕이 되듯이 일구어지는 것이다.

         어려서 부모님 슬하에 있을 때,
         특히 세상에 나와서 첫 6개월 엄마의 젖가슴에 옴몸을 맞대고 생명의 진액을 빨아드리며,
         세상과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인생 초기의 경험에 의해 성품의 기초, 바탕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중,고등학교 시절의 청소년기에는 성품의 뼈대, 골격이 세워지는 시기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번 잘못 지어진 집을 리모델링 할려면, 시간적, 경제적으로 말할 수 없이 어렵듯이,
         이 골격이 세워지는 시기에 삐따닥하게 건물의 골조가 서듯 왜곡된 성품의 뼈대가 형성된다면,
         이는 자칫 불행한 삶으로 흘러들어갈 수 밖에 없는, 감사할 줄모르는 인격형성의 틀이 갖추게 되는 것이다.

         학령전기의 선생님들과,
         청소년기에 이들을 도와주고 교육하며 양육하는 위치에 있는 어른들의 중요성이 여기에 있는 것이다.  ㅡ



   2.   양육할 것인가 사육할 것인가?

         나의 자녀를, 우리의 후손을 어떻게 키우고, 크도록 도와야 할 것인가?

         무엇을 가르치고 전수할 것인가?  :  가치, 마땅히 행할 일, 바람직한 성품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성격, 인격, 성품이 바뀌고,
                                                          성품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열심보다 중요한 것이 방향이고, 열심보다 중요한 것이 열심이 지향하는 촛점이다.

         얼마나 열심히 노력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 그 열심의 촛점이 맞춰져있고, 그 열심이 추구하는 곳, 것이 무엇이냐의 문제이다.

         아무리 열심을 다했어도 그것이 자신의 원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한 것이라면 이는 사육일 수밖에 없고,
         그 노력이 추구하는 바가 사랑으로 양육하는 자의 성품을 바르고, 바른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가치있는 삶을 일구어 내고, 잘 운요ㅇ하며,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존귀한 사람으로 키우고, 크도록 도와야 양육인 것이다.


         ㅡ  "마땅히 행할 일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러면 나이 먹어서도 이에서 떠나지 않나니..."
              "어리석은 자의 등을 위하여 채찍이 있느니라!"
              "채찍은 아이의 영혼을 구하느니라!"
              "자식을 근실히 초달하지 아니하는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지 아니함이니..."

             교육과 양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는 능력은 크도록 돕고,
             가치는 전수하여 가르쳐야 함을 잊지 않는 자여야 할 것이다.  ㅡ


   3.   성품의 종류와 특성과 일구는 노력  :  마음튼튼, 웰컴행복 참조

 
  4.   정리되고 정립되어야 할 개념들.

         지식         vs   지혜  
         불평(불행) vs   감사(행복)  :  불평팔찌, 인내
         집착         vs   집중
         살아있음   vs   살고있음   :  살아있는 맛 vs 사는 맛
         표류         vs   항해
         속도         vs   방향  :  속도보다 중요한 것이 방향이다!
         필요한 것  vs   원하는 것  :  장사, 기생, 스승(어른, 멘토)        

   ㅡ   방법, 외형, 결과  vs  본질, 의미, 가치  ㅡ


   5.   안 때리면 좋은 스승인가, 좋은 스승이 때리거나 안 때리거나 하나?

         스승이 방법에 따라 가르치나, 스승이 가르치기 위해 방법을 택하나?


   6.   삶의 주체  :  나(自我)

                    自 - 我      
                                         관계
         自我     他 - 我
                                         道, 성숙, 자아실현
                    眞我    



     결론  :  마땅히 행할 바를 가르치고, 알려주고 전수하는 노력!  :  이 시대를 담당한 어른들의 마땅히 행할 일!
















댓글 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4 송구영신(送舊迎新)@#$+0ㅅㄱㄷㅈ충찬페 정광설 2011.12.16 902
833 "이럴 줄 알았으면, 내가 왜 미쳤다고 결혼을 했겠어요!" 정광설 2008.04.28 900
832 못하나, 안하나? 정광설 2008.04.22 886
831 평등은 지선(至善)의 가치인가? 정광설 2008.04.12 885
830 1998년 3 : 20日이다.@ 정광설 2011.07.16 869
829 '돌(石)'급 인생(人生)! 정광설 2008.05.07 866
» 교육청 강의 원고 정광설 2012.03.05 863
827 "설겆이좀 해줄련?" / "싫어! 나 바뻐!" / 어쩔껀가? 정광설 2008.04.19 857
826 내 아이를 낳아준 여자는 씨받이이지, 내 아내가 아니랍니다!!!@0 정광설 2008.08.28 849
825 좌표(座標)!@#$+0ㅅㄱㄷㅈㅊ충국찬총 정광설 2010.10.04 846